사이버 홍보실

“공교육 보완과 사교육비 경감으로 학습격차를 줄이는 EBS”

하이라이트

금주의 HOT ISSUE!

본방송의 재미가 2배! 매 주 시청자에게 관심이 높은
EBS 주요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를 다시 보고, 미리 보세요.

※ 주간 일별 하이라이트

이전 03 다음
달력 게시판
01 02 03 04 05 06 07

프로그램명 1TV지식채널e [낙타와 박쥐는 어떻게 만났을까?] 홈페이지  

방송일자
2020년03월03일 25:00
방송정보
담당
이미지 받기
압축 이미지가 없습니다.
2002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2012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2019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까지 전염병 발생의 주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사스, 니파, 에볼라, 메르스에 이어 코로나바이러스의 숙주로 다시 한번 야생동물 ‘박쥐’가 지목된 지금, 바이러스를 바라보는 인간의 시선이 아닌 박쥐의 시선에서 이루어져서는 안 되었을 ‘만남’에 대해 이야기한다. <지식채널ⓔ>에서는 인간에게 악몽이 되어버린 박쥐와 동물들의 만남을 다루는 ‘낙타와 박쥐는 어떻게 만났을까?’ 편을 방송한다.


박쥐가 만난 동물들 : 돼지, 사향 고양이, 낙타, 원숭이...
최근 수년 사이 발병한 전염병의 주요 매개체는 ‘박쥐’인 것으로 밝혀졌다. 2020년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역시 숙주로 박쥐가 지목되었다. 코로나 19의 중간 숙주인 동물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박쥐와 낙타의 만남에서 전해진 ‘메르스’, 박쥐와 돼지의 만남에서 전해진 ‘니파’, 박쥐와 사향고양이의 만남에서 전해진 ‘사스’까지 인간에게 악몽이 되어버린 박쥐의 ‘만남’에 대해 살펴본다. 박쥐와 낙타, 인간의 시선에서는 가장 만나기 힘들 것으로 보이는 두 동물은 어떻게 만났을까?

선을 넘은 박쥐? 선을 넘은 인간
2012년 중동지역에서 시작해 2015년 한국 사회에 확산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은 박쥐에서 발생한 바이러스가 중간 숙주인 낙타를 거쳐 인간에게 전파된 신종 감염병이다. 선을 지키며 살아가던 ‘이집트 무덤 박쥐’와 ‘낙타’는 어떻게 만났을까? 1998년 박쥐는 왜 ‘돼지 농장’ 근처까지 날아온 것일까? 심각한 환경오염과 삼림 파괴로 인해 박쥐의 서식지가 훼손되고 박쥐는 살기 위해 선을 넘고 있다. 살아있는 박쥐를 거래하는 시장에서 선을 넘은 건 정말 박쥐일까?

모두를 지켜주던 선이 무너졌다
“신종 감염병은 야생동물의 영역을 침범하고 환경을 파괴한 인간의 욕심이 초래한 결과입니다.”
- 김우주 (감염내과 전문의)
야생동물 박쥐는 약 200여 종의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다. 특수한 면역 체계를 지닌 덕분에 바이러스에 쉽게 감염되지 않는다. 그러나 박쥐 몸에 있는 바이러스가 인간을 비롯한 다른 생물체들에 전해지면 생명을 위협할 만큼 치명적이다. 해가 다르게 모습을 달리하며 등장하는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는 알려지지 않은 야생동물의 수만큼이나 미지의 영역이다. 과연 인류는 계속되는 박쥐와의 잘못된 만남을 막아낼 수 있을까? 지식채널ⓔ '낙타와 박쥐는 어떻게 만났을까?‘편은 3월 3일 화요일 밤 1시와 3월 7일 토요일 오후 2시 5분, 3월 10일 화요일 밤 12시 55분에 EBS1에서 방송된다.
트위터 트위터

프로그램별 리스트

편성시간 제목 홈페이지
20:50 1TV 세계테마기행 [언젠가는 꼭 한 번 파나마, 코스타리카 2부. 정글에서 사는 법, 엠베라족] 홈페이지
21:30 1TV 한국기행 [찾으러 가, 봄 2부. 다시, 봄 지리산] 홈페이지
23:35 1TV 미래교육 플러스 [배움의 기초, 문해력 2부. 문해력의 씨앗을 키워라!] 홈페이지
25:00 1TV 지식채널e [낙타와 박쥐는 어떻게 만났을까?] 홈페이지
  • 1TV TV1
  • 2TV TV2
  • FM FM
  • Plus1 Plus1
  • Plus2 Plus2
  • EBSe EB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