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홍보실

“공교육 보완과 사교육비 경감으로 학습격차를 줄이는 EBS”

하이라이트

금주의 HOT ISSUE!

본방송의 재미가 2배! 매 주 시청자에게 관심이 높은
EBS 주요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를 다시 보고, 미리 보세요.

※ 주간 일별 하이라이트

이전 09 다음
달력 게시판
21 22 23 24 25 26 27

프로그램명 1TV지식채널e [먹고살기 힘들 때] 홈페이지  

방송일자
2025년09월25일 25:00
방송정보
담당
이미지 받기
압축 이미지가 없습니다.
- 조선시대에도 ‘긴급재난지원금’이 있었다?


9월 22일, 민생 안정과 소비 진작을 목적으로 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그런데, 국가가 위기 상황에서 국민을 직접 지원하는 복지제도는 조선시대에도 있었다?

1795년,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 회갑 행차 중 굶주린 이들을 보게 된다. 신풍루에 올라 5천 명의 백성에게 쌀을 나누어 준 정조. 『원행을묘정리의궤』에 기록된 이 장면은 일시적인 왕의 ‘하사품’이 아니었다.

반복되었던 춘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곡식을 빌려주고 추수기에 이자를 거두던 ‘환곡’은 지속적으로 운영되었던 조선의 복지제도. 하지만 환으로 불리던 ‘이자’ 때문에 문제도 많았다는데... 이에 반해, ‘진휼’은 곡식과 의복 등을 ‘무상’으로 지급하는 제도였다. 흉년이나 전염병 같은 상황에서 ‘긴급 발동’되는 진휼은 과연 어떻게 운영되었을까. 조선 후기 학자 구상덕의 『승총명록』에 ‘뚜렷한 기준과 원칙’이 잘 기록되어 있다는데...

자연재해를 ‘하늘의 심판’으로 여겼던 시대, 굶주린 백성을 구제하는 일은 곧 군주의 통치 책임이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무려 2,949회 기록될 정도로, 국가 차원의 중요한 정책이었던 복지정책. 지식채널e에서는 조선판 ‘재난지원금’을 조명한다.
트위터 트위터

프로그램별 리스트

편성시간 제목 홈페이지
05:30 1TV 클래스e [전호태의 '한국 미술의 기원: 암각화에서 고분벽화까지 4강. 역사 시대로 이어지는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홈페이지
20:40 1TV 세계테마기행 [오늘도 뜨거운, 아미고 멕시코 4부. 열정과 낭만 찾아, 여기에!] 홈페이지
21:35 1TV 한국기행 [저속노화의 달인 4부. 가랑마을 장수의 비밀] 홈페이지
21:55 1TV 왔다! 내 손주 [불꽃 할매♥감성 할배, 짜릿한 스웨덴의 맛에 빠지다?!] 홈페이지
25:00 1TV 지식채널e [먹고살기 힘들 때] 홈페이지
  • 1TV TV1
  • 2TV TV2
  • FM FM
  • Plus1 Plus1
  • Plus2 Plus2
  • EBSe EB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