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 홍수 속 미디어 불평등과 교육격차 해소방안 탐색> 세미나 개최

<기술 홍수 속 미디어 불평등과 교육격차 해소방안 탐색> 세미나 개최

키오스크를 못쓰면 굶어야 하는 시대EBS를 통해 디지털 시민성을 구현해야


- 기술이 번영의 엔진일 수는 있지만 격차의 엔진이 될 수도

-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공영미디어 역할 강화 필요

- 기술 홍수 속 공영미디어 역할 수행을 위한 사회적 지지와 재원 확충 되어야

 

 527() 오후 1, 우석대학교 전주캠퍼스 교양관에서 한국언론정보학회가 주최하는 <기술 홍수 속 미디어 불평등과 교육격차 해소방안 탐색> 세미나가 진행됐다. 이번 세미나에서 미디어 불평등으로 인한 교육격차를 줄이고 교육공영미디어의 책무를 강화할 방안을 도출하였.

 

 ‘기술 홍수 속 미디어 불평등과 교육격차 해소방안 탐색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맡은 서강대학교 조재희 교수는 기술발달에 따른 디지털 격차에는 1차적으로 정보기기나 망에 대한 접근에서의 디지털 정보격차, 2차적으로 디지털 정보의 활용 역량과 수준에서의 차이, 3차적으로는 결과로 인한 성과와 혜택에서의 차이라고 설명하였다.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 격차의 부정적 효과에 대하여는 삶의 질에 있어서의 불평등, 경제적 불평등, 건강 불평등, 교육 불평등이 있으며, 그 중 교육 격차는 교육 콘텐츠라는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나 ‘EBS 두리안서비스, ‘꾸꾸’, ‘교육 플랫폼이라는 측면에서 ‘EBS 온라인클래스’, 교육부의 e학습터, ‘교육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1:1학습 튜터링서비스 EBS '단추‘, AI 스마트스쿨링, 서리풀샘, 랜선야학 등의 온/오프라인 튜터링 서비스, 에듀테크 멘토링 사업 등의 디지털 기술을 통하여 격차가 해소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 중 공영방송으로서의 EBS는 미디어 리터러시 고양을 통한 디지털 포용을 추구해야하며, 이를 통해 보편적 교육 기회의 확산과 교육격차 해소에 일조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생성형 AI를 비롯한 기술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 전반적인 구조적 변화를 유연하게 반영하는 콘텐츠의 개발과 디지털 격차교육 격차‘, 기술 불평등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 콘텐츠에 대한 기획 및 제작을 제안하였다.

 

 김동준 공공미디어연구소 소장은 디지털 기기에 접근이 어려운 학생의 비율이 미국은 30%정도가 되는데, 접근에 있어 소외되는 경우가 없는 한국과 비교되는 것에는 EBS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한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원, 고품질, 위기상황에서의 정보제공 등 여전히 공영미디어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공영미디어에 대한 공적재원이 지원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김소형 성균관대학교 교수는 노년층의 디지털 소외가 큰 문제이며, 중장년층과 노년층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획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EBS가 제작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서보윤 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는 EBS에 기대하는 교육에 비해 재원이 한정적이며, 교육격차 해소를 통한 디지털 시민성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EBS에 재정적 뒷받침이 되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신삼수 EBS 박사는 키오스크를 못쓰면 굶어야하는 시대, 기술이 번영의 엔진일 수는 있지만 격차의 엔진이 될 수도 있는 중요한 문제라고 말하였다. 또한, 접근의 격차가 해소됐다고 해서 정보의 격차가 해소된 것이 아니고, 그 간극이 영원히 따라잡을 수 없도록 벌어지기 전에 논의가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EBS역할은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고, 우리사회가 후퇴하지 않도록 감시자 역할을 하는 시민을 길러내는 것으로, 디지털 격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EBS가 되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좌장은 성공회대학교 김서중 교수가, 발제는 서강대학교 조재희 교수가 맡았고, 토론에는 김동준 공공미디어연구소 소장, 김소형 성균관대학교 교수, 서보윤 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 신삼수 EBS 박사가 참여하였다.

 

 한국언론정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기술 홍수 속 미디어 불평등과 교육격차 해소방안 탐색>527() 우석대학교 전주캠퍼스 교양관에서 오후 1부터 240분까지 진행되었다.


다시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TFFWvvBUYLs



 


 

관련 사진

이전글 이전글
<AI시대, 교육 공영미디어의 책무 재탐색> 세미나 성료
다음글 다음글
<AI 시대, 미디어를 통한 교육의 확장 방안 모색> 세미나 진행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