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변화를 선도하는 EBS
프로그램의 최신소식에서 교육 채널 소식까지 EBS의 보도자료를 한자리에서 만나보세요.
게시판 보기 페이지입니다.
제목    [프로그램] 다큐멘터리 명가(名家) EBS, 명성을 이어가다  
작성일 2012-03-19 조회수 9823
프로그램 정보 방송일자

다큐멘터리 명가(名家) EBS, 명성을 이어가다

 

-국내외 각종 상 석권..2007년 이후 4년간 수상실적 ‘4배 급증'

- 수출 실적도 호조’..201030만 달러 규모에서 201191만 달러 달성

   5년 새 시청률 두 배 이상 급증

교육이라는 보편적 소재 활용..수출과 시청률 향상에 기여

 

EBS(사장 곽덕훈)의 다큐프라임 문명과 수학(기획: 이연규, 연출: 김형준 / 201112월 방영)19, 2012년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에서 대통령상인 대상을 차지했다. 3D 다큐멘터리 신들의 땅, 앙코르(연출: 김유열, 김동준 / 20114월 방영)뉴미디어 부문 수상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EBS는 이날 2관왕의 영예를 차지했다.

 

지난 4년간 이어진 방통위 방송대상에서 EBS는 두 번, 대상 수상의 쾌거를 이뤘다. 2009년 제1회 방송대상에서 한상호 PD한반도의 공룡이 대상을 받은 바 있다.

 

EBS의 다큐멘터리 혁명이 계속되고 있다. 명실상부 다큐멘터리 명가의 입지를 굳건히 하고 있는 것이다. 성장일로를 걷고 있는 EBS 다큐멘터리의 현주소를 짚어본다.

 

1. 국내외 각종 상 석권..4년간 수상실적 ‘4배 급증

 

불과 4회를 맞은 방통위 방송대상에서 EBS가 두 번씩 대상의 영예를 차지한 것은 괄목할 만한 성과라 할 수 있다. 방통위 수상뿐 아니라, 2010년에는 교육 대기획 학교란 무엇인가?’(연출: 정성욱, 남내원, 박유준)가 각종 프로그램 수상에서 대상 부문을 모두 석권하다시피 했다. 방송협회 방송대상, 콘텐츠진흥원 방송 그랑프리 대상, 삼성 언론상, 백상대상 교양부문, PD 대상 시사교양부문 등 화려한 수상 이력을 갖고 있다.

 

수상실적도 크게 증가했다. 200714, 200833, 201041, 201156개로 급증한 것이다. 2007년부터 4년 사이에 무려 4 뛰어올랐다. (EBS 국내외 수상실적 별첨)

 

2. 수출 실적도 호조’..EBS 콘텐츠 전 세계로 확대

 

다큐멘터리 수출실적도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201030만 달러 규모에서, 201191만 달러로 3배 이상 늘었다. 2010년 수출실적 30만 달러는 EBS를 제외한 한국 지상파 TV 전체 수출실적 35만 달러에 육박하는 것이고 2011년엔 그 차이가 더 벌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지난해 3D 다큐멘터리 <신들의 땅, 앙코르>가 다큐멘터리 사상 최고가로 미국 스미소니언 채널(다큐 전문 채널)에 수출되는 기록을 세웠다. 한국 다큐멘터리가 미국 시장에 본격 진출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지난 1월 영화로 탄생한 <점박이:한반도의 공룡 3D>는 개봉 전 해외 33개국에 판매된 데 이어 지난달 베를린 국제영화제를 통해 영국과 프랑스, 이집트 등 23개국에 추가로 수출됐다.

 

북미는 물론 유럽,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등 전 세계에 걸쳐 수출을 이어가고 있다.

 

3. 시청자 관심 증대..시청률 급상승

 

양질의 콘텐츠는 시청자들에게도 인정받았다. 2008년 교육 다큐멘터리 중심으로 편성 방향을 확정한 후, 시청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세계테마기행>의 경우 2007년 동일시간대 0.32%였던 시청률이 2008년 개편 첫 방송 후 1.09%를 기록했고 20091.22%, 20111.44% 그리고 최근에는 2%를 돌파했다. 수출과 수상 실적을 주도해 왔던 <다큐프라임>2007년 동일 시간대에 0.57%였던 시청률이 최근 1.46%로 급상승했다.

 

4. 보편적 소재 교육’..수출과 시청률 향상에 기여

 

이처럼 수상, 수출, 시청률 실적이 크게 향상된 데에는 2008년도 교육 기획 다큐멘터리 <다큐프라임>을 출범시킨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에 방통위 대상을 수상한 <문명과 수학>을 비롯해 지난해 <학교란 무엇인가?>, <한반도의 공룡>, 3D 입체 다큐 <신들의 땅, 앙코르>, <아이의 사생활>, <한반도의 매머드>, <선생님이 달라졌어요> 등은 모두 교육을 소재로 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교육이라는 보편적 소재로 제작해 전 세계로 유통하며 수출 실적을 올릴 수 있었다.

 

 

*별첨: EBS 수상 실적(2004~2012319일 현재)

 

--

첨부파일 첨부파일[20120319_보도자료]_다큐멘터리_명가(名家)_EBS,_명성을_이어가다.hwp
이전글
[프로그램] EBS-FM 고전읽기-'홍길동전'의 재발견
다음글
[보도자료] EBS 다큐프라임 <문명과 수학>, 2012 방통위 방송대상 수상
목록